티스토리 뷰

물놀이 후 눈병으로 힘드신가요? 매해 봄뿐만 아니라 여름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안질환, 유행성 각결막염입니다. 결막염의 종류와 증상, 전염성, 치료 방법 및 기간과 예방법 등의 정보로 건강한 눈과 함께 보내는 즐거운 날들 되시길 바랍니다.

결막염
결막염

<결막염> 종류 증상 전염성 치료

결막은 눈 즉 안구를 외부에서 감싼 점막 조직으로 눈의 흰자위(구결막), 그리고 윗눈꺼풀과 아래 눈꺼풀 안쪽의 진한 분홍색 부분(검결막)을 말하며, 결막염은 바이러스, 세균, 알레르기, 감염, 외부 자극 등의 원인으로 이 결막에 염증이 발생한 것을 의미합니다.


바이러스성 결막염(유행성 각결막염 포함)

원인 :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흔한 원인 바이러스에는 아데노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단순포진바이러스 등이 있습니다. 바이러스성 결막염 중 대표적인 눈병인 '유행성 각결막염'의 원인은 아데노바이러스입니다.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유행성 각결막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질환입니다. 두 조건 모두 결막의 염증을 포함하고 유사한 증상을 공유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다른 유형의 바이러스를 포함하므로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증상 : 눈곱, 이물감, 양쪽 눈의 충혈, 눈꺼풀 부종, 눈물, 가려움증, 눈부심, 동통, 안구건조증 등이 가볍게 나타나기도 하고, 감기와 같은 호흡기 증상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전염성 : 증상이 대체로 가벼운 것과는 달리 전염성은 매우 높습니다. 대체로 한쪽 눈에서 시작하면 반대쪽 눈으로 전염이 되는 직접 접촉, 환자가 사용한 물건에 의해 그것을 만진 다른 사람에게도 전염이 되는 간접 접촉, 물을 통한 전파로 전염되며 전염성이 매우 높기에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균성 결막염
원인 :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합니다.
증상 : 눈 중앙에서 노란색 또는 녹색을 띤 끈적끈적한 분비물이 나오고, 분비물의 분비가 심한 경우 눈꺼풀이 달라붙는 유착으로 인해 눈을 뜨기 어렵기도 합니다. 한쪽 눈 또는 양쪽 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전염성 : 전염성이 있습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원인 : 꽃가루, 동물의 털 등 환경적 요인의 알레르기로 인해 발생합니다.
증상 : 가려움증이 심하다는 특징이 있고, 충혈, 부기, 눈물과 끈끈한 흰 실과 같은 점액성의 분비물이 생기기도 하며 코막힘과 콧물 같은 다른 알레르기 증상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양쪽 눈에 영향을 미칩니다.
전염성 : 전염성이 없습니다.

 

 

치료 방법 및 기간

바이러스성 결막염(유행성 각결막염 포함)
치료 방법 : 특별한 치료 방법 없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낫기는 하지만 그래도 치료를 하는 목적은 증상 완화에 있으며, 세균 감염이 함께 오는 것에 대비하여 항생제를 눈에 넣기도 합니다.
치료 기간 : 5~14일 정도의 바이러스 잠복 기간을 거쳐 대개 3~4주간 지속되며 발병 후 2주까지 전염성이 있습니다.

 

세균성 결막염
치료 방법 : 자연 치유도 될 수 있지만, 항생제를 사용하여 증상을 완화하고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병원에서 치료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적절한 항생제 성분의 안약을 눈에 넣어 치료하면 쉽게 낫지만, 간혹 만성 결막염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치료 기간 : 대개 5~7일 동안 점안 항생제를 1일 4회 정도 사용합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 방법 :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알레르기이므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좋은 해결책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 정리가 어려운 상황이라면 차가운 인공 눈물과 냉찜질을 병행하며 의사가 처방한 알레르기 약과 안약 등의 도움을 받습니다.
다른 알레르기 증상이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라면 완치는 어려운 부분이 있지만, 증상이 있을 때마다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치료로 항알레르기 점안약이나 항알레르기 약물을 복용한다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심각한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라면 전문적인 치료를 즉시 받고 증상을 빨리 가라앉혀야 합니다.
치료 기간 : 대개 1~2주 이내로 증상은 완화되나 증상이 심각하거나 지속되면 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연장될 수도 있습니다.

 

※결막염이 매우 심하면 눈을 뜨기 힘들 정도로 눈꺼풀이 부어오르고, 드물게는 각막상피가 벗겨지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적극적인 안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예방법

●우선 손을 잘 씻어 청결을 유지하며, 더러운 손으로는 눈을 만지지 않습니다.
●눈을 비비는 습관이 있다면 주의하고, 습관을 고칩니다.
●개인 물품의 독립적인 사용을 권장합니다.
●눈의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증상 완화와 전염을 막기 위해 즉시 안과 진료를 받습니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채로 수영을 하지 않으며, 부득이한 상황이라면 일회용 렌즈를 착용합니다.
●눈병 등의 안질환이 유행하면 수영장 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는 피하고,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면 물안경을 착용합니다.